광주문학관 안내 및 3월 강좌


예향의 고장 광주문학관에서는 일반 시민과 어린이를 대상으로 시 창작, 그림책과 공예, 시낭송 프로그램 수강생을 모집한다. 3월에 시작하는 정기 프로그램(상반기)에 <일반 시민 강좌>와 <어린이 강좌>를 개설했다.

공연축제바로가기

광주문학관 안내 및 3월 강좌

광주문학관 3월 강좌

1. 강좌기간 : 2024년 3월 ~ 5월까지

2. 일반 시민 강좌
– 시창작 강좌 : 현대시 창작과 기초 이론 교육
– 그림책과 공예 강좌 : 문학 작품과 관련된 공예 작품.

3. 어린이 강좌
– 어린이 작가 교실 : 스스로 글쓰기의 재미를 느껴 책 읽기와 글쓰기.
– 나만의 책 만들기 : 자작시를 써보고 자신의 감정과 정신을 그림으로 표현

4. 모집기간 : 2024. 2 .22(화) ~ 선착순 마감

5. 신청방법 : 광주문학관 홈페이지 온라인 접수 / 전화 접수

광주문학관 홈페이지 바로가기

6. 문의처 : 광주문학관 홈페이지. 문학관 운영팀(062-613-6192)

광주문학관 3월 강좌
자료출처:광주광역시청 보도자료

광주문학관 이용

1. 이용안내
(1) 관람시간 : 09:00 ~ 18:00 (입장마감 17:30)
(2) 휴관일 : 1월 1일, 명절연휴, 관공서의 공휴일의 다음날, 시장이 필요하다고 정하는 휴관일
(3) 문의 및 안내전화 등 광주문학관 062-613-6190~3
(4) 참고사항
– 상업목적의 촬영과 플래시․삼각대를 이용한 사진촬영은 금지.
– 문학관 실내 전 구역은 금연구역.
– 음식물 반입금지 및 애완동물 출입금지.

2. 주소 : 광주광역시 북구 각화대로 93(각화동)

3. 대중교통 : 금호36, 금남55, 송암74, 두암81, 용전86

4. 승용차
-. 서광주IC 방면 : ‘대구 순천’ 방면으로 오른쪽 방향 → 동광주IC에서 ‘화순, 동광주’ 방면으로 오른쪽 고속도로 출구 → 각화IC에서 ‘시화문화마을, 금봉미술관’ 커뮤니티센터‘ 방면으로 고가차도 왼쪽으로 진입, 광주문학관

-. 동림IC 방면 : ‘순천, 동광주IC’방면으로 오른쪽 고속도로 출구, 각화 IC에서 시화문화마을, 방면으로 고가차도 왼쪽으로 진입, 광주문학관

광주문학관 찾아오시는 길

광주문학관
광주광역시 북구 시화마을에 위치한 광주문학관

광주문학관 대관신청

– 기획전시실, 창작실, 문학사랑방, 세미나실

광주문학관 상설전시관

광주를 대표하는 문인들

1. 순수시를 개척한 시인, 박용철

광주출신 시인으로 『시문학』·『문예월간』·『문학』 등 문예지를 간행하였고, 방대한 역시편(譯詩篇) 등을 통하여 해외문학을 소개하는 역할을 하였다는 점에서 한국근대문학사에서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2. 고독의 시인, 김현승

1934년 양주동梁柱東의 추천으로 詩 「쓸쓸한 겨울저녁이 올 때 당신들은」이 『동아일보』에 게재되면서부터 문단활동이 시작된 이후, 1935년 <조선시단>, <동아일보> 등에 시를 계속 발표하였다. 1953년부터 『신문학新文學』을 6호까지 간행하였다.

3. 한국현대시조의 개척자, 정소파

시조시인이자 아동문학가. 1930년 18세에 월간 종합문예지 『개벽』에 <별건곤別乾坤>을 게재하며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한국문단에서 최고령 작가로 활동하였고, 현대 시조의 개척자로 평가받는다.

4. 한국의 저항시인, 문병란

김현승의 추천으로 등단했다. 첫 시집 『문병란시집』에서 시인에게 시는 신앙과 같은 존재이며 시창작의 고통은 새로운 생명을 낳는 일이 되기에 시인은 시를 통해 성장할 수 있다는 문학관을 견지했다.

5. 오월문학

1980년 5월은 광주의 문학계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이 시기에 문학은 공권력의 강압에 의해 침묵했던 언론을 대신해 대항 기억의 형성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출처

광주문학관 홈페이지 바로가기

광주광역시청 홈페이지 바로가기

공연축제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