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ghtsail은 AWS의 강력한 인프라를 기반으로 복잡한 설정을 최소화하여 초보자나 소규모 프로젝트에 최적화된 서비스입니다. AWS서버를 사용하다가, 타서버로 이전 후 사용 중이던 AWS서버 인스턴스 삭제를 하지 않으면 요금이 부과됩니다. AWS Lightsail의 장단점과 삭제 방법을 안내합니다.
AWS Lightsail 서버
1.AWS Lightsail 장점
①압도적인 사용 편의성
복잡한 EC2, VPC, EBS, Route 53 등의 설정을 하나하나 할 필요 없이, 몇 번의 클릭만으로 가상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DNS까지 한 번에 구성할 수 있습니다.
②예측 가능한 저렴한 요금
정해진 사양(vCPU, 메모리, 스토리지)과 데이터 전송량이 포함되어 있어 예산 관리가 매우 용이합니다.
③올인원(All-in-One) 패키지
요금제에 가상 서버(인스턴스), SSD 기반 스토리지, 데이터 전송량, 고정 IP 주소, DNS 관리 기능이 모두 포함되어 있어 추가 설정의 번거로움이 없습니다.
④손쉬운 확장성
사용량이 늘어나면 더 높은 사양의 Lightsail 플랜으로 쉽게 업그레이드할 수 있습니다. 만약 Lightsail의 한계를 넘어서는 서비스로 성장할 경우, EC2로 손쉽게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는 경로도 제공합니다.
2.AWS Lightsail 단점
①제한적인 유연성과 구성
사용 편의성을 위해 세부적인 설정이 제한됩니다. 예를 들어, CPU, 메모리, 네트워크 성능을 정해진 플랜 중에서만 선택해야 합니다.
②정해진 리소스 한계
고성능 컴퓨팅이나 대규모 트래픽을 처리해야 하는 서비스에서 자동 확장(Auto Scaling) 같은 고급 기능은 EC2에 비해 제한적입니다.
3.타 서버로 이전 후 인스턴스를 삭제하지 않으면 발생하는 불이익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서버를 전혀 사용하지 않아도 인스턴스를 삭제하지 않으면 요금은 계속 청구됩니다. 구체적인 불이익(비용 발생)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인스턴스 요금
Lightsail 플랜에 따른 월별 또는 시간별 요금이 계속 부과됩니다. 인스턴스가 ‘실행 중(Running)’ 상태이기만 하면, 고객님이 접속해서 사용하든 안 하든 비용이 발생합니다.
②고정 IP(Static IP) 요금
Lightsail에서는 인스턴스를 ‘중지(Stop)’ 상태로 두더라도 고정 IP가 연결되어 있으면 요금이 계속 부과됩니다. 인스턴스를 삭제한 후에도 고정 IP를 삭제하지 않으면 별도 요금이 청구됩니다.
③스냅샷(백업) 저장 비용
인스턴스의 백업을 위해 만들어 둔 스냅샷은 인스턴스를 삭제하더라도 자동으로 사라지지 않습니다. 이 스냅샷은 저장 공간을 차지하므로 별도의 스토리지 비용이 계속 발생합니다.
[결론] AWS에서 ‘불이익’은 곧 ‘지속적인 비용 청구’입니다. 사용하지 않는 리소스는 즉시 삭제하여 불필요한 비용 지출을 막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4.AWS Lightsail 인스턴스 삭제 순서
인스턴스를 삭제하면 인스턴스 내의 모든 데이터(웹사이트 파일, 데이터베이스 등)가 영구적으로 사라지며 복구할 수 없습니다.
①AWS Lightsail 콘솔 로그인
웹 브라우저에서 https://lightsail.aws.amazon.com/ 주소로 접속하여 AWS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②인스턴스 탭 선택
Lightsail 대시보드 상단의 ‘인스턴스(Instances)’ 탭을 클릭합니다.
③삭제할 인스턴스 선택
생성된 인스턴스 목록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삭제하려는 인스턴스를 찾습니다.

④인스턴스 관리 메뉴 열기
삭제할 인스턴스 카드(네모난 박스)의 우측 상단에 있는 세로 점 3개(⋮) 모양의 메뉴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⑤삭제(Delete) 선택
드롭다운 메뉴가 나타나면 가장 아래에 있는 ‘삭제(Delete)’를 클릭합니다.

⑥최종 확인 및 삭제
“이 인스턴스를 삭제하시겠습니까?” 라는 확인 창이 나타납니다. 내용을 다시 한번 확인하고, ‘예, 삭제합니다(Yes, delete)’ 또는 ‘삭제(Delete)’ 버튼을 클릭하여 최종적으로 삭제를 완료합니다.
⑦고정 IP 삭제(고정 IP가 연결되어 있을 경우)
상단 ‘네트워킹(Networking)’ 탭으로 이동하여, 삭제한 인스턴스에 연결되었던 고정 IP가 남아있다면 메뉴(⋮)를 눌러 ‘삭제(Delete)’합니다.
⑧스냅샷 삭제(수동 스냅샷이 있을 경우)
상단 ‘스냅샷(Snapshots)’ 탭으로 이동하여, 더 이상 필요 없는 수동 스냅샷이 있다면 메뉴(⋮)를 눌러 ‘삭제(Delete)’ 합니다.
⑨DNS 영역 확인(도메인 설정이 있을 경우)
‘네트워킹(Networking)’ 탭의 DNS 영역에서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도메인 설정이 있다면 정리합니다.
⑩AWS 회원 해지(탈퇴)까지 하면 깔끔합니다.

마치며
▶IT정보 모음 바로가기 ☞
▶일상소식 바로가기 ☞
▶생활소식 바로가기 ☞
▶독유당 이야기 바로가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