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은 우리 삶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신경과 의사는 수면 장애로 인해 겪는 피로와 무기력감에서 벗어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도와드릴 것입니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통해 정상적인 수면을 되찾고 활기찬 일상을 위해 수면장애 이럴 때는 신경과를 방문하세요.
▶일상소식 바로가기 ☞
▶정책정보 바로가기 ☞
▶생활소식 바로가기 ☞
수면장애
1. 신경과를 찾는 수면장애
①잠자리에 누워 1시간이 넘도록 잠들기 어려우신가요?
②밤중에 자주 깨고, 깨면 다시 잠들기가 힘든가요?
③충분히 잤다고 생각했는데도 하루 종일 졸리고 피곤하신가요?
④코를 심하게 골거나, 자는 동안 숨이 막히는 증상이 있나요?
⑤잠자는 동안 이상한 행동을 하시는가요?
⑥이러한 문제들이 한 달 이상 지속된다면, 망설이지 마시고 가까운 신경과 전문의를 찾아 상담받으시길 권합니다.
2. 수면다원검사란 무엇인가
①수면다원검사는 수면 중 뇌파, 심전도, 근전도, 안구 운동, 호흡, 혈중 산소 포화도 등 다양한 생리적 지표를 측정하고 기록합니다.
②비디오 촬영을 통해 수면 자세나 움직임 등도 관찰합니다.
③검사 전 수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약물 복용을 중단하고, 최대한 편안한 환경에서 평소와 같이 잠을 청하게 됩니다.
④모든 수면 장애 환자에게 수면다원검사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의사의 판단에 따라 필요한 경우에 시행됩니다.

3. 수면장애의 종류
①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
심한 코골이는 수면무호흡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수면무호흡증은 잠자는 동안 코를 심하게 골다가 갑자기 호흡이 멈추는 현상이 반복되는 질환입니다. 10초 이상 숨을 쉬지 않는 증상이 자주 나타난다면 수면무호흡증을 의심해야 합니다.
이는 수면 중 기도 주변 근육의 기능 이상이나 뇌의 호흡 중추 문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환자 본인은 증상을 인지하지 못하고 낮 동안 피로감이나 집중력 저하만을 느낄 수 있으며, 함께 잠자리에 드는 배우자가 발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면무호흡증은 뇌졸중, 고혈압, 심근경색, 심장마비 등 심각한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높일 수 있으므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②기면증
기면증은 밤에 충분히 잠을 잤음에도 불구하고 낮 동안 갑작스럽고 심한 졸음이 쏟아지는 질환입니다. 앉아 있거나 서 있는 상태에서도 참을 수 없이 졸음이 쏟아지며, 심한 경우 운전 중이나 대화 중에도 잠에 빠질 수 있습니다.
또한, 감정적인 자극(웃음, 울음 등)을 받을 때 갑자기 근육에 힘이 빠지는 탈력 발작을 경험하기도 합니다. 기면증은 뇌의 시상하부에 있는 수면 조절 중추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질환이며, 반드시 치료가 필요한 수면 장애입니다.
③하지불안증후군
하지불안증후군은 가만히 앉아 있거나 누워 있을 때 다리에 불편한 감각이 느껴지는 질환입니다. 다리를 움직이지 않으면 종아리 부위에 벌레가 기어가는 듯한 이상 감각이 느껴지며, 다리를 움직이거나 주무르면 증상이 완화됩니다. 이러한 증상 때문에 잠들기 어렵고, 수면의 질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④렘수면행동장애
렘수면은 꿈을 꾸는 수면 단계로, 정상적인 경우 뇌는 신체의 움직임을 억제하여 꿈속의 행동을 실제로 하지 않도록 합니다. 하지만 렘수면행동장애 환자는 이러한 억제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꿈속에서 하는 행동을 그대로 나타냅니다.
소리를 지르거나 팔다리를 휘젓는 등 과격한 행동을 할 수 있으며, 본인이나 주변 사람에게 상해를 입힐 수도 있습니다. 렘수면행동장애는 주로 노년층, 특히 파킨슨병 환자에게서 흔하게 나타나며, 약물 치료를 통해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습니다.
⑤몽유병, 악몽, 야경증
몽유병은 수면 중 비정상적인 행동을 보이는 질환으로, 주로 학령기 아동에게서 나타납니다. 잠자리에 들었던 사람이 갑자기 일어나 방을 돌아다니거나, 가구를 옮기거나, 심지어 집 밖으로 나가 배회하기도 합니다.
몽유병 환자는 깨어난 후 자신이 무슨 행동을 했는지 기억하지 못하며, 대부분 특별한 치료 없이 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사라집니다. 악몽은 무섭고 불쾌한 꿈을 꾸는 현상으로, 꿈의 내용을 기억할 수 있습니다.
야경증은 잠자는 동안 갑자기 공포에 질려 비명을 지르거나 울면서 깨는 현상으로, 꿈의 내용을 기억하지 못합니다. 악몽과 야경증은 피로, 열, 특정 약물 등과 관련되어 발생할 수 있으며, 청소년기에 접어들면서 대부분 사라집니다.
▶일상소식 바로가기 ☞
▶정책정보 바로가기 ☞
▶생활소식 바로가기 ☞
마치며
[자료출처] 조선대학교병원 홈보 팜플렛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