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 방법 및 Q&A


백신 접종 후 겪을 수 있는 이상반응, 어떻게 신고해야 할까요? 흔한 부작용부터 드물지만 알아둬야 할 증상까지! 정부 지원 및 대처법을 안내합니다. 질병관리청 홈페이지에서 엄선한 자주 묻는 예방 접종 10가지를 문답형식으로 설명하고,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 방법 및 Q&A를 안내합니다.

▶일상소식 바로가기
▶정책정보 바로가기
▶생활소식 바로가기

자주 묻는 예방 접종 10가지

1.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이 생겼을 경우 신고 방법은?

①예방접종 후 몸에 이상이 느껴진다면, 가장 먼저 진료받은 의료기관에 알려주세요.
②이상반응 신고는 의사 선생님이 신고합니다.
③직접 알리고 싶다면, ‘예방접종도우미’ 웹사이트에서 이상반응 발생 사실을 신고할 수 있습니다.

▶의료기관의 경우 신고방법 :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 활용
▶보호자의 경우 신고방법 : 예방접종도우미 웹사이트 (http://nip.kdca.go.kr)

2.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인해 피해를 입은 경우는?

①국가 예방접종 후 예상치 못한 이상반응으로 인해 치료비가 발생했다면, 거주지 관할 보건소를 통해 피해 보상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②예방접종피해보상전문위원회에서 인과성을 인정받으면 진료비, 간병비, 장애인 일시 보상금, 사망 일시 보상금, 장제비 등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③자세한 내용은 관할 보건소에 문의하시면 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보상 신청: 주소지 관할 보건소
▶문의: 1339 (질병관리청 콜센터)

3.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의 효과는?

①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은 접종 후 2주 정도 지나면 몸속에 보호 항체가 만들어집니다.
②건강한 성인의 경우, 백신이 유행하는 바이러스와 잘 맞으면 70~90%까지 예방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③개인의 면역력이나 바이러스의 변이 등에 따라 효과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④감염 예방은 물론 심각한 합병증이나 사망 위험을 낮추는 데 큰 도움이 되므로 접종을 적극 권장합니다.

4. 해외여행 전 장티푸스 백신 예방접종은?

①해외여행을 계획하고 있다면, 장티푸스 백신 접종 시기를 꼭 확인하세요.
②장티푸스균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 시점으로부터 최소 2주 전(경구 백신은 1주일 전)에는 접종을 완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5.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 후 감염 가능성은?

①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했더라도 인플루엔자에 걸릴 가능성은 있습니다.
②백신 접종 후 항체가 형성되기까지 약 2주 정도 걸리는데, 그 전에 바이러스에 노출되면 감염될 수 있습니다.
③백신과 유행 바이러스의 종류가 일치하지 않거나 개인의 면역력이 약한 경우에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④예방접종은 중증 질환과 사망 위험을 낮추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므로, 안심하고 접종받으시길 바랍니다.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 방법 및 Q&A 1
예방 접종

6. 5개월 된 아기도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가능한가?

①5개월 아기는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할 수 없습니다.
②현재 시판되는 인플루엔자 백신은 6개월 미만 영아에게는 안전성과 효과가 입증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③대신, 아기와 함께 생활하는 가족들이나 임산부들이 예방접종을 받아서 아기를 보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7. 모유수유 중에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가능한가?

①모유 수유 중에도 안심하고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습니다.
②인플루엔자 백신은 수유부와 아기 모두에게 안전합니다.
③특히 6개월 미만 아기를 돌보는 엄마라면, 우선적으로 예방접종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8. 예방접종 위탁 의료기관 찾기 웹사이트는?

①예방접종은 주소지에 상관없이 가까운 위탁 의료기관이나 보건소에서 받으실 수 있습니다.
②예방접종이 가능한 의료기관은 관할 보건소나 질병관리청 콜센터(1339)에 문의합니다.
③’예방접종도우미’ 웹사이트(https://nip.kdca.go.kr)에서 직접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예방접종도우미 홈페이지 바로가기

9. 대상포진 백신 접종할 때 다른 백신을 같이 맞아도 되는가?

①대상포진 백신을 접종할 때 다른 백신과 함께 맞아도 괜찮습니다.
②단, 각 백신마다 다른 주사기와 접종 부위를 사용해야 합니다.
③특히 대상포진 생백신은 다른 생백신과 동시에 접종하는 것이 좋습니다.
④만약 따로 맞아야 한다면 4주 이상의 간격을 두는 것이 좋습니다.

10. 대상포진 예방접종이 대상포진을 일으킬 수 있는가?

①대상포진 예방접종을 한다고 해서 대상포진에 걸릴 가능성이 아주 없는 것은 아닙니다.
②하지만 예방접종은 대상포진 발병 위험을 크게 낮춰주고, 만약 발병하더라도 증상을 훨씬 가볍게 만들어 줍니다.
③또한, 대상포진 후 신경통과 같은 합병증 발생 위험도 줄여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일상소식 바로가기
▶정책정보 바로가기
▶생활소식 바로가기

마치며

[자료 출처]
▶질병관리청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