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랫동안 사용하지 않던 노트북을 켰는데, 부팅이 되지 않고 F4 버튼을 누르라는 메시지만 표시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노트북 배터리가 방전되어 부팅정보가 사라졌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노트북 부팅이 되지 않을 때 BIOS 설정 변경 방법 및 순서를 안내합니다.
▶일상소식 바로가기 ☞
▶정책정보 바로가기 ☞
▶생활소식 바로가기 ☞
노트북 BIOS 설정 변경 및 순서
(F4) 메시지 표시 현상
노트북 전원을 켰을 때 F4 키를 누르라는 메시지가 나타나는 것은, 주로 다음과 같은 경우입니다.
①부팅 정보 손실 또는 오류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된 상태로 오래 방치되면 BIOS(기본 입출력 시스템) 설정값이 초기화되거나, 저장 장치(HDD/SSD)의 부팅 관련 정보에 일시적인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시스템이 정상적인 운영체제(OS) 부팅 경로를 찾지 못하고 복구 모드(F4는 삼성 노트북의 복구 솔루션 진입 키) 진입을 안내하는 것입니다.
②잘못된 부팅 모드 설정
운영체제가 설치된 방식(예: Legacy BIOS 또는 UEFI)과 현재 BIOS에 설정된 부팅 모드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부팅 장치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해 해당 메시지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오래된 노트북의 경우 Legacy(CSM) 방식으로 OS가 설치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F2) BIOS 설정 변경을 통한 부팅 방법 (“CSM and UEFI OS” 설정)
“CSM and UEFI OS” 설정 변경은 ‘잘못된 부팅 모드 설정’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①구형 운영체제 부팅 방식 : CSM
②신형 운영체제 부팅 방식 : UEFI OS

(F2) BIOS 설정 변경을 통한 부팅 순서 (“CSM and UEFI OS” 설정)
①노트북 전원 켜기 및 BIOS 진입
-노트북의 전원 버튼을 누르고 화면이 켜지기 시작할 때 F2 키를 반복적으로 여러 번 눌러 BIOS 설정 화면으로 진입합니다.
-타이밍이 중요합니다. 너무 늦게 누르면 F4 메시지 화면으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②BIOS 설정 화면 탐색
BIOS 화면에 진입하면 키보드의 방향키(←, →, ↑, ↓)를 사용하여 메뉴를 이동합니다. 상단 메뉴 중 “Boot” 또는 “Advanced” 탭으로 이동합니다. (BIOS 버전 및 모델에 따라 메뉴 이름이 다를 수 있습니다.)
③“CSM and UEFI OS” (또는 유사 항목) 설정 변경:
“Boot” 또는 “Advanced” 탭 내에서 “OS Mode Selection”, “Boot Mode Select”, “UEFI and Legacy OS”, “CSM Support”, 또는 “CSM and UEFI OS” 와 유사한 이름의 항목을 찾습니다.
④해당 항목을 선택하고 Enter 키를 누릅니다.
-옵션 중에서 “CSM OS” 또는 “CSM and UEFI OS” (또는 “Legacy OS First”, “CSM Support [Enabled]”)를 선택합니다.
-만약 현재 “UEFI OS” 또는 “UEFI Only”로 되어 있다면, CSM을 활성화하거나 CSM과 UEFI를 모두 지원하는 옵션으로 변경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참고]
일부 BIOS에서는 “Secure Boot Control” 또는 “Secure Boot” 항목을 [Disabled]로 변경해야 CSM 관련 옵션이 활성화되거나 변경 가능할 수 있습니다. 필요시 이 항목도 확인해 보십시오.
⑤설정 저장 및 종료:
F10 키를 누릅니다. (대부분의 BIOS에서 F10은 ‘Save and Exit’ 기능입니다.)
“Save configuration changes and exit now?” 또는 유사한 내용의 확인 메시지가 나타나면 “Yes” 또는 “OK” 를 선택하고 Enter 키를 누릅니다.
⑥재부팅 및 윈도우 진입 확인:
노트북이 자동으로 재부팅됩니다.
정상적으로 설정이 변경되었다면, 이전에 나타나던 F4 메시지 없이 윈도우로 부팅이 시작되는지 확인합니다.

주의사항
①모델별로 BIOS 인터페이스와 메뉴 용어가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②위 방법으로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거나, BIOS 설정 화면 진입 자체가 어렵다면 배터리 문제, 저장 장치(HDD/SSD)의 물리적 손상, 또는 운영체제 파일 손상 등 다른 원인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가까운 삼성전자 서비스센터에 방문하여 전문가의 점검을 받아보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마치며
▶일상소식 바로가기 ☞
▶정책정보 바로가기 ☞
▶생활소식 바로가기 ☞